본문 바로가기
교육/생기부 세특

생기부 진로활동 세특 예시 생명공학 의료보건 계열

by 작은 행복 p 2024. 3. 6.

생기부 진로활동 세특 예시 안내를 위한 포스팅으로 생명공학 전공과 의료보건 계열 전공 관련 내용입니다. 진로활동은 생기부 내 창의적체험활동에 포함된 내용으로 전공적합성을 드러내기에 좋은 생기부 기술 부분입니다. 교과내용과 연계할 수도 있지만 고등학교 3학년 세특에서는 고등학교 1-2학년에 기록된 내용 중 전공 관련 내용과 연결하여 심화하는 것이 더 좋았습니다.

 

진로활동 세특
진로활동 세특

 

 

생기부 세특 예시 관련 포스팅은 생기부 내 특정 교과목의 교과 세특이나 진로활동,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내용을 포함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세특을 위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공 관련 주제로 연결할 수 있는 경우 최근 연구 동향과 연관지어 작성되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3년 내 생기부에 기록된 예시가 있는 경우 유사도 검증에 걸릴 수 있어 본인만의 스타일로 변경하여 기술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기사나 논문이 관련된 경우 해당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활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생명공학 의료보건 분야 진로활동 세특 예시

 

생명과학1 교과에 이어 생명과학2 교과에서 유전자 발현에 대해 배우며 식품으로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식품에 대한 위해성으로 얼룩진 유전자 발현 생명체에 대해 무조건적인 거부감을 가질 것이 아니라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현재 인류가 당면한 여러 질병을 치료하고 나아가 예방할 수 있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관련 내용을 조사하게 되었다고 함. 

 

암이나 유전적 질환 등 내부적 요인에 기인한 질병보다는 외부에서 접근과 치료가 가능한 질병의 경우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한 유전자 치료를 하더라도 사람들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조직과 기관이기에 이에 대한 거부감이 적을 것으로 예측하고, 피부, 손발톱, 머리카락 등의 외부 노출 조직 및 기관에 대해 중점을 맞추어 관련 내용을 조사함.

 

이 중 나이와 성별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스트레스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탈모에 대해 관련 내용을 찾아보게 됨. 탈모는 현재 성별이나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지만 그 치료는 바르는 약, 먹는 약, 모발 이식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소적으로 탈모가 발생하거나 일시적인 외부 요인에 의해 탈모가 발생한 경우는 면역 요법이나 스테로이드 제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됨. 

 

 

여러 치료법 중 모발 이식이 가장 마지막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바르는 치료약이나 먹는 치료약이 최우선적으로 환자에게 적용되고, 이는 미국식품의약청인 FDA에서 승인된 미녹시딜(Minoxidil)과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가 이미 임상 시험을 통해 모발 밀도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초기 사용이 확실시 되고 이음을 알게 됨. 

 

미녹시딜이나 피나스테라이드는 사용 시기나 작용 기작은 다르지만 최종적으로는 모낭에 혈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모낭 생장 환경을 좋게 유지하고 이를 통하여 탈모를 억제하고, 새로운 머리카락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을 알게 됨. 미녹시딜이 초기 고혈압 약으로 혈관을 확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점이나 피나스테라이드가 전립선 치료제로서 테스토스테론 대사물의 작용 억제게 사용되었던 점을 모두 고려할 때 혈류 증가가 모근의 생존 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이 확실시 되는 것을 보고 관련된 추가 연구에 관해 알아보게 됨. 

 

 

최근 일본 쓰쿠바 대학 연구진들에 의해 케라틴 마이크로스피어 처리를 통한 모발 생장 촉진 연구가 진행중임을 확인하고, 3D 케라틴 마이크로스피어를 합성하여 탈모 부위에 처리하면 이들이 모발성장경로와 모낭 발달 경로의 유전자 활성화에 관여하고, 모근 생존 환경 개선에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하며, 모발 재성장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 모근 생존 환경 개선이 최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됨. 

 

또한 연구진들의 연구가 모발 성장 촉진 확인에서 끝나지 않고 합성된 3D 케라틴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하여 모근 뿐 아니라 외부에서 접촉 가능한 피부 질환에 대한 약물 전달체로의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가 시도중인 것을 확인하며, 인체 질병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넓은 시야와 지식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함. 

 

더불어 인체에서 자연적으로 합성되는 물질인 케라틴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인체 독성이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이미 샴푸나 컨디셔너에 사용되는 물질인 케라틴을 연구 재료로 활용함으로서 추가적인 동물 실험이나 임상 실험 과정을 최소화하는 것을 보며, 실험 단계의 최소화나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서는 기존 연구 동향을 꾸준히 확인하고 예의 주시하는 자세 또한 중요한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고 함. 

 

** 논문 출처 :

https://pubs.acs.org/doi/10.1021/acsabm.3c00956

Effect of Keratin Microsphere Gel on Hair Growth in Mice

https://www.tsukuba.ac.jp/en/research-news/20240216140000.html

 

 

이상은 생기부 진로활동 세특 예시 생명공학 의료보건 계열 전공 희망자들을 위한 생기부 예시 사례 안내 포스팅이었습니다. 해당 내용 중 케라틴 마이크로스피어 관련 논문은 아래 출처를 기록하여 두었습니다. 케라틴 마이크로스피어 이외 내용은 본 포스팅 자체 내용임을 안내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