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활동 세특 활동을 전공과 관련하여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자율활동 세특은 교내 활동에 관련된 내용이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자율활동 세특 내용을 활용하며 전공 관련 내용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의학 전공이나 생명공학 및 생명과학 전공 분야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자율활동 세특 활용 방안에 대해 안내해드립니다.
수의학, 생명공학, 생명과학 관련 분야의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내 자율활동 활용 세특 작성 방법입니다. 정확하게는 창의적 체험활동 내 자율활동 부분을 전공 관련 내용으로 연결될 수 있게 작성하여 생기부 방향성을 맞추고자 하는 과정이며, 자율활동 뿐만 아니라 진로활동, 동아리활동 역시 전공 관련 내용으로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자율활동 세특 내용
교내 줄기세포 집중탐구 강연에 참여하여 '개발 단계의 근육 줄기세포와 그 역할'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들음. 생명과학1 교과 내용 중 배운 생장과 발생 단원, 유전 단원과 생명과학2 교과 과정 중 줄기세포와 핵심유전자 관련 내용이 단순히 교과서의 내용이 아니라 실제 개발 단계의 근육 줄기세포가 실존함을 알게 되고, 이들을 이용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던 근육이나 신경의 재생이 가능함을 알게 됨.
관련 내용에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찾아보던 중 국내 연구소에서 줄기세포치료제와 제대혈 개발 등의 과정이 진행중임을 알게 되고, 연구소에 이메일을 보내고 학교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아 견학단을 꾸려 연구소를 방문하여 실제 연구 과정을 견학하는 기회도 가짐.
줄기세포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줄기세포 치료가 기능을 다하거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손상을 입은 세포나 조직 및 기관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임을 알게 되며, 이들이 손상된 연골 조직, 혈액 관련 질환의 치료, 골수 이식, 자가면역질환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음을 알게 됨.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해 iPSC분화 연구가 일본에서 이미 시도되었으나 독특한 특징을 지닌 iPSC의 추가적인 개발이 어려운 단계에 부딪혔음을 알게 되며, 줄기세포의 다양한 분화 과정을 개발하고, 배양 과정을 실용화할 수 있다면 오랜 기간 약을 개발하여 동물을 거쳐 인간에게 적용되는 시간을 줄이고, 인공지능을 이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히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신약 후보 물질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게 됨.
이를 위해 개인별 질병에 문제가 되는 타겟 유전자를 찾고, 이를 표적으로 한 줄기세포를 개발하기 위해, 여러 세포 치료제 바이오 마커를 개발하는 과정 또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게 됨. 탐구 과정을 통해 대학 진학 후, 줄기세포 관련 분야 중 바이오마커 개발과 분화 및 배양 과정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하며 향후 추가적인 동향에 관해 조사를 하며 견문을 넓혀가겠다는 의지를 밝힘
이상은 수의학 생명공학 관련 고등학교 자율활동 세특 관련 생기부 기술 예시를 안내해드린 포스팅입니다. 희망 전공을 가지고 생기부 방향성을 맞추어 가는 것은 대입 수시모집의 학생부종합 학종 전형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다양한 분야의 생기부 세특 관련 내용을 지속적으로 포스팅 예정입니다.
'교육 > 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진로활동 세특 예시 (0) | 2024.03.07 |
---|---|
생기부 진로활동 세특 예시 생명공학 의료보건 계열 (0) | 2024.03.06 |
생명과학1 세특 (0) | 2024.01.24 |
동아리 활동 세특예시 (0) | 2024.01.21 |
고등학교 자율활동 세특 예시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