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생기부 세특

고등학교 생기부 생명과학 세특 예시

by 작은 행복 p 2024. 3. 15.

고등학교 생기부 교과목 세특 기록 중 생명과학1 세특 예시 사례 안내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교과목별 생기부 교과 세특은 고등학교마다 차이가 조금씩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학기 당 한 가지의 주제로 작성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학기당 주제를 연결하거나 다른 과목과의 연계를 통해 생기부 방향성을 맞추어 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생명과학 세특 예시
생명과학 세특 예시

 

 

고등학교 생기부 생명과학 세특 예시 안내를 위한 포스팅입니다. 교과목별 생기부 세특 예시 사례가 시리즈로 포스팅 될 예정이며, 활용 가능한 전공을 함께 작성하여 다양한 전공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다만 동일한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시는 경우 생기부 유사도 검증에 해당될 수 있으니 본인의 생기부 방향성에 맞추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생명과학 세특 예시

 

생명과학1 교과의 질병과 병원체 단원을 배우며 한국인에게는 생소하지만 인명을 앗아가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는 수면병에 대해 알게 됨. 언론 매체와 책에서 듣고 읽어 알고 있던 말라리아와 유사하게 곤충에 의해 질병이 유발될 수 있음을 알게 되며, 곤충에 의한 전파되는 질병 차단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됨. 

 

관련 내용에 대해 탐구하던 중 국제적인 방법으로 수십년간 사용되어 온 곤충 매개 질환의 해결을 위한 방법을 알게 되고, 이를 활용하여 확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추가적 탐구를 진행함. 기존에 국제적으로 곤충 매개 질환을 위해 사용되던 방법은 자연계에서 빠른 속도로 증식하는 질병 매개 곤충의 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방사선 조사를 통해 생식 능력을 차단한 곤충을 자연계에 방출하여 자연 생식을 통한 개체 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이나 이는 곤충 서식지에 다량의 생식 능력 제한 개체를 방사하여야 하는 방법 때문에 방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효과를 보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함을 알게 됨. 

 

 

생식 능력 제한 개체 방사가 질병 매개 곤충의 생식 능력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며, 방법을 유지하되 빠른 방출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는 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함. 이 중 최근 대중들에게도 흔히 사용되는 드론의 활용에 대해 고민함. 사람이나 육상 이동 수단의 사용 없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빠른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고, 곤충의 스트레스 증가로 생식 제한이나 폐사를 줄일 수 있도록 이동 중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데에는 드론의 활용이 적격이라 생각하게 됨.

 

또한 실제 드론을 이용한 불임 곤충 방사가 브라질에서 연구 시도 중임을 알게 되며, 작은 관심으로 시작된 탐구 과정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될 때, 그 생각의 결과가 실제 해결책에 가까운 결과를 얻게 될 수 있음을 보며 놀랐고, 이 경험을 통해 작은 궁금증을 보더라도 여러 방향으로 그 해결책을 찾기 위한 고민을 하고 그 고민과 탐구 과정을 통해 지식을 확장해나가면 좋을 것 같다는 다짐을 하게 됨. 

 

 

생명과학1 교과의 질병과 병원체 단원을 활용한 세특 기재 예시 안내 포스팅이었습니다. 해당 내용은 생명과학 내용이라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희망하는 학생만이 생기부에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질병으로 연결하면 의학 약학 간호 등 보건 계열의 학생들도 활용할 수 있고, 드론에 포커스를 맞추어 드론 기술 다양화와 심화로 연결하면 기계공학이나 전자공학으로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생기부 교과 세특 기술을 위해 단원명이 정해지거나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할 내용이 정해지더라도 기준 주제에서 시작하여 본인의 전공과의 연계성을 생각하고 그 방향으로 확장해간다면 교과 세특을 전공심화 내용으로 채울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 단, 너무 전공심화 내용만으로 생기부를 기술하려다 교과심화 내용을 빠뜨리는 일이 없도록만 주의를 기울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고등학교 생기부 생명과학1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