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생기부 세특 신소재 전기전자 전공 희망자를 위한 교과 과목별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입니다.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는 교과목별, 전공별 시리즈로 포스팅되고 있습니다. 이번 교과목은 화학1 교과목 세특으로 신소재, 전기전자 전공 희망자를 위한 내용입니다.
신소재 전기전자 전공 희망자를 위한 화학1 생기부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입니다. 해당 주제는 세균을 활용해 인체 내 적용 가능한 미세 로봇을 기반으로 하는 내용으로 미세 로봇을 이용하여 인체 내 질병 치료를 위한 바이오하이브리드 관련 내용입니다. 해당 자료는 논문 기반 자료이며, 화학1 교과목에서 시작하여 전공으로 연계해 나갈 수 있습니다.
신소재 전기전자 전공 희망자를 위한 화학1 생기부 세특 예시
화학1 교과목 수업 중 다양한 실생활에서의 화학의 활용을 배우며, 일반적으로 실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학제품 이외에 자기 나노입자, 나노리포솜 등의 약물 전달 시스템에 활용되는 약물 방출 시스템 역시 화학적 원리와 물질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게 됨. 이 중 약물 전달 시스템과 관련된 인체 적용 화학 물질은 화학적 반응이나 외부 물리적 자극에 의해 약물이 전달되도록 제작된 경우가 많으므로 보다 깊은 화학적 통찰이 필요함을 알게 됨.
약물 전달 시스템 중 화학적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한 약물 방출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중 세균 활용 하이브리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알게 됨. 이는 박테리아 바이오하이브리드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박테리아와 작은 나노 입자 결합을 통해 약물 전달을 목표로 함. 특히 자기 제어가 가능한 바이오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목표로 하는 약물 전달 체계로 박테리아 기반의 미세 로봇 플랫폼 개발에 대해 탐구함.
참고자료 :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1700012152&dbt=TRKO&rn=
원문보기 - ScienceON
scienceon.kisti.re.kr
박테리아 기반의 미세 로봇 플랫폼을 활용하되 생리학적으로 인체 내 약물 농도 기울기를 감지하고, 약물 운반 및 목표 장소에 전달을 위해 효율적인 추진력을 제공하는 기술적 장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이 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함. 또한, 박테리아 바이오하이브리드의 설계 한계와 성능 저하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함.
참고자료 : https://www.bioin.or.kr/board.do?num=233409&cmd=view&bid=report
자발적인 논문 탐구 과정을 통해 자기 나노입자와 나노리포솜을 활용하여 박테리아와 결합하는 방법을 알게 되고, NIR 자극에 의해 약물 방출을 제어하는 기술이 종양 치료와 같은 의학적 응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함. 또한, 자극 반응형 약물 방출 시스템을 통해 약물이 목표 위치에 도달한 후에만 방출되는 방식으로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다짐함.
이러한 탐구 활동을 통해 박테리아 바이오하이브리드 기술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깊은 이해와 미래 의학적 응용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뛰어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할 가능성이 큼.
이상은 신소재 전기전자 전공 희망자를 위한 화학1 생기부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이었습니다.
위 내용 이외의 고등학교 생기부 과목별 전공별 세특 주제는 아래 카테고리에서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글 목록
교육 생활 정보 금융
small-happiness.tistory.com
'교육 > 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생공 생명공 전공, 독서 교과목 세특 예시 (0) | 2025.01.11 |
---|---|
환경공 화생공 생명공 전공자의 통합과학 생기부 세특 예시, 인공 잎 설계 (0) | 2024.10.17 |
신소재 전공 화학1 세특 예시, 나노 입자의 위험성 (0) | 2024.10.16 |
화학 재료공학 생기부 세특 예시, 리그닌 활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작 (0) | 2024.09.19 |
생명과학 나노 화학 세특 예시, 혈관 확장을 통한 항암제 투과 가능성 증대 (0)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