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백신 부작용

by 작은 행복 p 2021. 12. 26.

백신 부작용 경험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백신 부작용 경험에 대한 간단한 포스팅입니다.

 

평상시 여러 종류 물질에 알러지가 있고, 약 종류 중 설파계 항생제에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보여서 특히 항생제는 조심해서 사용중입니다. 

 

코로나 상황인지라 백신을 맞고 항체를 가진 사람이 많아야 전체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는 것은 맞지만, 개인적으로 알 수 없는 다양한 물질에 알러지가 있고, 특히 아직 사용 초기 단계인 mRNA 백신 은 조금 더 백신 접종에 신중을 기하게 하는 이유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백신을 맞는 것이 당연시되는 분위기에 미루고 미루다 백신 접종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접종이 가능한 코로나19 백신으로는 기존 벡터 백신 생산 방식과 동일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전달체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얀센 백신, 그리고 이번 코로나 19 상황에서 새로 사용을 시작한 mRNA 백신 인 핵산 백신 화이자 백신과 모더나 백신이 있었습니다. 

 

어차피 백신을 접종하기로 결정을 한 이상 접종 간격이 짧아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2차 접종까지 마칠 수 있으며, 쉽게 예약을 하고 접종이 가능한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을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접종 1일차

화이자 백신 접종을 마치고, 약 10시간 후부터는 접종 부위가 단단해지고 통증이 생기며, 37.9도 가까이 열이 나는 일반적인 작은 부작용들이 시작되었습니다. 입술에 약간의 간지러움도 시작되었습니다. 38도가 넘는 고열이 아니었기에 타이레놀 복용도 하지 않았고, 다음날이 되었습니다. 

 

접종 2일차 

오히려 접종 2일차에는 접종 부위도 다시 단단한 것이 풀리고, 정상으로 돌아오며 통증도 완화되었습니다. 열은 아직까지 있었지만 크게 불편함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입술 간지러움은 조금 더 심해졌고, 붉게 변하고 열감이 있었습니다. 

 

접종 3일차

접종 부위의 통증과 단단함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열이 있었고, 입술이 부풀어 오르기 시작하며, 얼굴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이 증상이 아나필락시스라기에는 그리 심하지 않았습니다. 얼굴과 목 부위에 한정되어 부종과 두드러기가 발생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일단 항히스타민제 한 알을 복용하고 잠들었습니다. 

 

접종 4일차

얼굴과 목 부위에 부종과 두드러기가 더 심해졌습니다. 다른 일로 병원에 갔다가 의사 선생님께 얼굴을 보여드렸더니 백신 부작용 중 하나인 아나필락시스 증상이지만 호흡에 문제가 없으니 조금 더 지켜보고 호흡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병원 내원을 하라고 하셨습니다. 

 

접종 10일차 

접종 9일차까지 계속해서 부어오르고 간지러움과 두드러기를 동반하던 얼굴, 목 부위의 증상이 조금 줄어들었습니다. 대신에 이번에는 생리 기간이 아닌데 부정 출혈이 있었습니다. 의사 선생님께 설사, 부정 출혈 등이 추가로 발생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이미 들었던터라 그리 놀라지는 않았지만 백신 부작용 증상이 꽤 오랜 시간 천천히 지속됨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접종 16일차 

아직 입술이 부풀어 있고, 부정 출혈이 계속되고 있지만 엄청 심각한 정도의 부종이나 출혈은 아니라 병원에 추가로 방문하지는 않았습니다. 의사 선생님도 응급실에 가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되면 내원을 권유하셨던터라 그냥 집에서 쉬면서 지켜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백신 접종을 하고 백신 부작용 상황을 겪으며, 2차 접종에 대한 고민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당장 다음주가 2차 접종 기간이지만 솔직히 가족 모두 접종을 말리는 상황이고, 의사 선생님도 접종을 권유할 수 없다고 말하며, 저 또한 이번에는 어떤 부작용이 얼마나 갈지 몰라 접종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중증 알러지가 있어서 입술이 부풀어 오를 때에는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입술이 마르는 일은 없었지만 이번에는 입술이 부풀어 오르며 고열이 동반되어 부풀어 오른 입술이 계속 말라 찢어지며 입술에서 피가 멈추지 않아 음식물 섭취는 물론 일상 생활에서 대화하는데까지 꽤 많은 고충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1차 백신 접종의 효과가 아까워 추가 2차 접종을 하기에는 부작용이 무서워 추가 접종은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오히려 외출이나 사람이 많은 곳의 방문은 최대한 피하는 선택을 할 것 같습니다. 

참고 :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전달체 백신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단백질의 유전자를 인체에 피해가 없는 또 다른 바이러스의 주형에 넣어 몸에 주입하여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고, mRNA 백신 , 핵산 백신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중 항원으로 작용하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체내에 주입하여 체내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서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백신입니다. 두 백신 모두 생백신이 아닙니다.

 

이상은 코로나 19 백신 부작용 관련 개인적 경험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 댓글, 구독,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됩니다. 맘껏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