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나노 화학 세특 예시, 혈관 확장을 통한 항암제 투과 가능성 증대를 위한 암 치료법 모색에 관한 내용으로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 내용을 안내해드립니다. 교과 관련에서 시작하여 전공 내용을 풀어가는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입니다.
생명과학 나노 화학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입니다. 생명과학 전공 분야에 화학 교과목의 나노 분자의 특성을 연결하여 작성하거나, 나노 전공 분야에 생명과학 혈관 확장 내용이나 면역 관련 내용을 연결하여 혈관 확장을 통한 항암제 투과 가능성 증대 모색 방법을 제안할 수 있는 주제의 포스팅입니다.
생명과학 나노 화학 세특 예시, 혈관 확장을 통한 항암제 투과 가능성 증대
생명과학 교과목의 목차 중 방어작용 단원에서 시작하여 외부 침입 물질 중 혈액 내 침입이 아직 일어나지 않고 체액 내로 침입이 시도된 외부 물질의 제거를 위해서는 혈관의 확장과 혈관 내에서 백혈구의 유출을 통해 체액 내 존재하는 외부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설명하여 주제 내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화학 교과목에서는 화학 결합과 분자 구조 단원에서 시작하여 그 크기로 인하여 독특한 성질을 가지게 되는 나노 분자의 활용 방법 중 면역단백질의 운반을 통해 특정 부위에 물질 전달이 가능한 나노 분자의 특성을 설명하며 주제 내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나노 화학 분야의 활용을 통해 암 치료 효과를 확인한 항암제를 체내로 주입하였으나 표적 기관으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거나 효율과 속도의 감소로 인해 미처 암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간, 신장 등의 체내 기관에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항암제가 대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을 하게 되었음을 작성합니다.
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거나 혈관을 효과적으로 투과하여 암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항암제의 효율 증대를 위하여 암 세포 표면에 특이적인 타겟을 찾는 것이 아니라 암 세포나 조직의 특징인 신생 혈관 생성 능력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들을 찾아보았음을 작성합니다.
암 세포 및 조직은 빠른 성장과 이때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을 위해 새로운 혈관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는데 이런 빠른 신생 혈관 생성이 비정상적인 혈관을 형성하거나 주변의 림프 조직이 정상적으로 발달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함으로 인해 결핍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를 타겟으로 암 세포 및 조직의 접근을 시도하는 연구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EPR 효과,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라고 불리우는 접근 방법으로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이론 자체는 리포솜, 나노입자, 거대 약물입자 등의 암 세포 및 조직 주변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그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어 여전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참고자료 : https://en.wikipedia.org/wiki/Enhanced_permeability_and_retention_effect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ffect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and passive targeting The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is a controversial concept[1][2] by which molecules of certain sizes (typically liposomes, nan
en.wikipedia.org
이번 고등학교 생기부 교과 세특 예시에 사용될 논문에서는 EPR 효과, 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PR) effect 와 함께 STING,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에 대해 함께 시도하고 있습니다. STING ,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은 세포가 바이러스나 특정 세균 및 기생충 등에 감염되었을 때, 감염된 세포나 주변 세포에 인터페론 생성을 유도하여 주변 세포의 보호 기작을 발동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STING ,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은 T 림프구 , NK 세포 , 골수 세포 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면역 관련 백혈구와 말초 림프 조직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en.wikipedia.org/wiki/Stimulator_of_interferon_genes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rotein-coding gene in the species Homo sapiens STING1Available structuresPDBOrtholog search: PDBe RCSB List of PDB id codes4EF4, 4EF5, 4EMT, 4EMU, 4F5D, 4F5E, 4F5W, 4F5Y, 4F9E, 4F9G, 4KSY, 4LOH, 4LOI, 4QXO, 4QXP, 4QXQ
en.wikipedia.org
즉, 나노입자를 활용하여 암 세포 및 조직 주변에 문제가 생긴 혈관을 타겟으로 항암 약물을 침착되게 하되 이때 주변 세포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 STING,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활성화를 유도한다면 주변 세포는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약물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암 세포 및 암 조직만이 항암제의 공격을 받게 되어 효과적으로 암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발표 결과입니다.
참고자료 :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o0082
이상은 생명과학 나노 화학 세특 예시, 혈관 확장을 통한 항암제 투과 가능성 증대를 위한 암 치료법 모색에 관한 내용으로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 내용을 안내 포스팅이었습니다.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은 과목별, 전공별로 나누어 시리즈로 포스팅되고 있습니다. 다른 주제 및 과목에 대한 생기부 세특 예시는 아래 카테고리에서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글 목록
교육 생활 정보 금융
small-happiness.tistory.com
'교육 > 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소재 전공 화학1 세특 예시, 나노 입자의 위험성 (0) | 2024.10.16 |
---|---|
화학 재료공학 생기부 세특 예시, 리그닌 활용 바이오플라스틱 제작 (0) | 2024.09.19 |
의료 의학 생명공학 세특 예시, 심폐 기능과 뇌 기능 연관성 (0) | 2024.09.06 |
법의학, 의학 세특 예시, 라만 분광법을 통한 흡연 여부 확인 (0) | 2024.09.02 |
물리학 식품공학 세특 예시, 전자기유도 현상과 감귤 펙틴 (0)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