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생기부 세특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법

by 작은 행복 p 2024. 8. 22.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으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법을 주제로 안내합니다. 항생제 관련 주제는 생명공학, 약학, 의학, 보건 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전공과 연계하기에도 용이한 주제입니다.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 법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 법

 

 

생명공학 약학 전공 희망자를 위한 고등학교 생기부 세특 예시 안내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법으로 최근 항생제 남용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즉, 슈퍼 박테리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에 대해 안내합니다. 생기부 내 전공 심화 주제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핵심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치료법

 

생명공학 약학 세특 예시를 위한 포스팅으로 생명공학, 약학, 의학, 보건 등 다양한 전공의 전공 심화 주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과 세특보다는 창의적체험활동 내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주제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제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이야기이며, 마이크로옴에 한정되어 있던 주제를 조금 더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사용이 증가함에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슈퍼 박테리아의 출현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면역력이 약해진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미 오래 전 퇴치가 가능하다고 믿었던 세균에 의한 질병이 치료 불가능한 실정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슈퍼 박테리아를 치료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으며, 최근 직접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치료법은  장내 마이크로옴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건강한 사람의 장내 마이크로옴을 인용해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슈퍼 박테리아를 가진 환자에게 적용하여 장내 마이크로옴을 정상화 시도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다른 사람의 용변을 섭취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으로 현재 임상에 흔하게 적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환자와 보호자 및 의료진의 충분한 상의가 이루어진 경우 종종 시도되는 방법입니다.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한 또 다른 시도는 CRISPR-Cas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여러 연구진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으며 몇몇 균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 있는 CRISPR-Cas 시스템 활용은 장내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자체 DNA를 타겟으로하는 작은 RNA 조각을 제공하고, 박테리아 스스로 이 작은 RNA에 상보적인 자기 DNA 를 절단하게 하여 사멸에 이르게 하는 방법입니다. 

 

참고자료 : https://journals.asm.org/doi/10.1128/mbio.00928-13

 

참고자료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2100017296

 

[보고서]CRISPR/Cas9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하여 반코마이신-내성 장알균 극복을 위한 항생제 개

연구개요본 연구에서는 VRE 의 반코마이신 내성 유전자인 Van 을 타겟으로 하여 이를 제거하는 유전자 가위를 제작해 VRE 에 대한 항균제를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임. 이를 위해 연구자는 Van 유

scienceon.kisti.re.kr

 

하이드로겔을 활용하여 박테리아를 사멸에 이르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장내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시스템으로의 활용이 아닌 외부에 노출된 슈퍼 박테리아를 사멸시켜 체내 재감염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하이드로겔은 대부분 물과 일부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가 양전하를 띠어 음전하 외막을 가지는 박테리아를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끌어당기고 외막을 파괴하여 최종적으로 사멸에 이르게 합니다. 또한 이는 물리적 특성을 활용한 사멸 방법으로 박테리아로 하여금 여기에 적응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수술 후 감염 부위에 하이드로겔을 부착하여 슈퍼 박테리아의 감염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popsci.com/technology/article/2013-01/new-warmth-activated-gel-can-break-tough-bacterial-biofilms-and-kill-superbugs/

 

IBM's Warmth-Activated Gel Can Break Up Tough Bacterial Biofilms And Kill Superbugs

And it is not vulnerable to evolved resistance.

www.popsci.com

 

이상은 생명공학 약학 의학 보건 등의 전공 희망자를 위한 세특 예시 포스팅으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슈퍼 박테리아 문제의 해결을 위한 마이크로옴, CRISPR-Cas 시스템 활용, 하이드로겔 활용 방안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 

 

 

'교육/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글 목록

교육 생활 정보 금융

small-happines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