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1 이론 안내 포스팅입니다. 고등 생명과학 1 정리입니다.
생명과학 1 이론 안내 포스팅은 시리즈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과목 중 생명과학 1 과목을 대상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간단한 요약본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론] 세포주기 세포분열
1. 세포주기 : G1, S, G2, M (전, 중, 후, 말기)
1) 간기 : 염색사, 중심체, 핵, 핵막, 인
(1) G1 : 주로 생장, 생장에 필요한 단백질(세포 소기관) 합성 - 가장 긴 시기
(2) S : DNA 복제, DNA & 염색사가 두 배가 되는 시기
(3) G2 : 분열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 세포막 성분 합성, 중심체가 2개로 복제되는 시기
2) 분열기(M기)
(1) 전기 : 염색사 --응축--> 염색체, 중심체 --> 방추사, 핵 소실, 핵막 소실, 인 소실 - 분열기 중 가장 긴 시기
(2) 중기 : 염색체가 중앙(적도판)에 배열 - 가장 짧은 시기 (핵형 분석에 유리)
(3) 후기 : 염색체나 염색분체가 양극으로 끌려가는 시기
(4) 말기 : 세포질 분열기 (동물 - 원형질 만입, 식물 - 세포판 형성) / 염색체 --풀림-->염색사, 방추사 --> 중심체, 핵, 핵막, 인
2. 세포주기 예외
1) G0 : 분화된 세포, 근육이나 신경, G1 → S 전환 차단
2) 난할 : 수정란의 체세포 분열, 분열속도 빠름, M, S 정상, G1, G2 없거나 짧음, 할구수 증가, 할구크기 감소
3) 종양 : 정상세포와 비교하여, 핵이 크거나 많음, 밀도의존성(접촉저해성)이 없다, 분화 불가능
4) 악성종양(암) : 전이 가능(혈액, 림프), 조직 침투력, 신생혈관생성
3. 체세포분열 : 동형분열, 염색분체분리, DNA양 반감
4. 감수 1분열 : 이형분열, 염색체분리, 핵상반감, 염색체수반감, DNA양 반감
5. 감수 2분열 : 동형분열, 염색분체분리, DNA양 반감
[이론] 멘델, 기본유전
1. 우성과 열성 :
1) 유전자가 함께 있을 때, 표현형으로 드러나는 것 : 우성,
2) 유전자가 함께 있을 때, 유전자형으로만 남아있는 것 : 열성,
3) F2 세대 표현형의 비, 유전자형의 비 = 3 : 1
2. 분리의 법칙 : 대립유전자 1 쌍, 대립유전자는 생식세포 형성 시 각각의 세포로 분리되어 들어감
3. 독립의 법칙 : 대립유전자 2 쌍 이상, 대립유전자는 생식세포 형성 시 각각의 세포로 분리되어 들어감
4. 중간유전 : 1) 불완전 우성, 우열관계 불분명, 2) F2 세대 표현형의 비, 유전자형의 비 = 1 : 2 : 1
5. 사람의 연관군의 수 : 23
6. 교배 결과 비
|
독립
|
상인연관
|
상반연관
|
검정교배
|
1:1:1:1
|
1:0:0:1
|
0:1:1:0
|
자가교배
|
9:3:3:1
|
3:0:0:1
|
2:1:1:0
|
7. 상인 X 상인교배 결과 비 3 : 0 : 0 : 1
8. 상인 X 상반교배 결과 비 2 : 1 : 1 : 1
9. 상반 X 상반교배 결과 비 2 : 1 : 1 : 1
10. 표현형의 가짓수가 많은 경우 : 상반 교배 시
[이론] 사람의 유전
1. 단일인자 유전 : 대립유전자 1쌍
1) 완전우성 : 대립유전자 2 개, 우열관계 분명, 표현형 2가지
2) 중간유전 = 불완전 우성 : 대립유전자 2 개, 우열관계 (불분명, 표현형 3가지
3) 복대립유전 : 대립유전자 3 개, 우열관계 분명 or 불분명
2. 다인자 유전 : 대립유전자 2 쌍 이상, 우열관계 불분명
3. 반성우성 확인법 : 아빠 → 딸, 아들 → 엄마
4. 반성열성 확인법 : 엄마 → 아들, 딸 → 아빠
5. 우성유전 확인법 : 유전병 → 정상
6. 열성유전 확인법 : 정상 → 유전병
7. 반성우성 유전병의 경우, 여성이 비율이 높다.
8. 반성열성 유전병의 경우, 남성이 비율이 높다.
9. 사람에서 치사인 경우 2가지 : 여자 혈우병, YO
[이론] 사람의 돌연변이
1. 염색체 돌연변이 : 핵형분석으로 구분 가능
1) 구조이상 : 중복, 결실, 역위, 전좌
2) 결실의 예 2가지 : #5 고양이 울음소리 증후군, #7 윌리암스 증후군
3) 전좌의 정의 : 비상동염색체 or 다른 상동염색체 사이의 유전자 교환
cf) 교차의 정의 : 상동염색체 or 같은 상동염색체 사이의 유전자 교환 - 감수1분열 전기
4) 수이상 : 배수성 - 감수1분열 + 감수2분열 비분리, 이수성 - 감수1분열 or 감수2분열 비분리
5) 상염색체 이수성 예 2가지 : #21 다운증후군, #18 애드워드 증후군
6) 성염색체 이수성 예제의 이름을 적으세요.
(1) XO : 터너증후군, (2) XXX : 초여성증후군, (3) XYY: 초남성증후군, (4) XXY : 클라인펠터증후군, (5) YO : 치사
7) 감수1분열 비분리 : 이형접합 발생
8) 감수2분열 비분리 : 동형접합 발생
9) 모든 자손이 'n+1' or 'n-1' 인 비분리 : 감수1분열 비분리
10) 자손 중 일부는 정상 ‘n'이며, 일부가 'n+1' or 'n-1' 인 비분리 : 감수2분열 비분리
2. 유전자 돌연변이 : 핵형분석으로 구분 불가능
1) 열성 유전병 4가지 : 낫모양적혈구빈혈증, 알비노, 페닐케톤뇨증, 낭성섬유증
2) 우성 유전병 1가지 : 헌팅턴무도병
3.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유전병 치료
1) 바이러스 : 해가 없는 바이러스
2) 치료된 체세포의 수명이 다하면 다시 발병
3) 유전병은 자손에게 유전
이상은 고등 과학 생명과학 1 과목의 유전 단원에 관한 이론 요약 정리였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 댓글, 구독,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비로그인도 "구독, 좋아요" 됩니다. 맘껏 눌러주세요.)

'교육 > 생기부 세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과학1 생명 과학의 이해 이론 (0) | 2023.06.27 |
---|---|
지구과학1 목차 (0) | 2023.06.25 |
생명과학1 목차 (0) | 2023.06.25 |
자기 소개서 보건 행정 (0) | 2022.06.26 |
생명과학1 이론 1 (0) | 2021.12.16 |